La armadura de Dios en Efesios – Pastor David Jang

El evangelio y la verdad de Jesucristo
El pastor David Jang siempre ha enfatizado que el núcleo del evangelio es la persona de Jesucristo. Afirma que Jesús es la Verdad misma, la fuente de vida que debemos aferrar, y que la fe en esta Verdad constituye el primer paso para prepararnos con la armadura completa de Dios. En el capítulo 6 de Efesios, al final, se presenta dicha “armadura de Dios”, cuya primera pieza es el “cinturón de la verdad”. Al respecto, David Jang explica: “La verdad es Jesucristo en sí, y por tanto se convierte en el cimiento más básico que previene nuestro tambaleo en el combate espiritual”. Aun si el resto de la armadura es impecable, sin la verdad todo se viene abajo; de modo que sin ella nuestra fe no puede mantenerse firme.

David Jang destaca que el evangelio consiste en la muerte sustitutoria y la resurrección de Jesucristo, y que la certeza absoluta de esto impulsa los fundamentos de nuestra fe. La “armadura de Dios” descrita en Efesios, dice, no es un mero adorno externo, sino una defensa espiritual para proteger nuestro corazón y mente. Llamando “cinturón de la verdad” al evangelio de Jesucristo, enseña que “vivir siempre revestidos de la verdad es el punto de partida de una fe que no se tambalea”.

Dado que el evangelio consumado en Cristo conecta el Antiguo y el Nuevo Testamento, David Jang subraya la continuidad entre ambos: la salvación anunciada en el Antiguo Testamento se cumple en el Nuevo por medio de Jesús. Por ello, insiste en la importancia de “rumiar” constantemente este evangelio consumado, meditarlo y hacerlo parte de nuestra vida. Suele usar la analogía de la vaca, que vuelve a masticar el alimento varias veces, para ilustrar que solo a través de una meditación repetida la verdad penetra por completo en nuestra existencia y se traduce en hechos concretos.

El pastor David Jang advierte contra la actitud de quienes oyen la Palabra pero no la digieren, dejándola pasar de forma pasajera. Sostiene que el camino de la fe radica en asimilar sin cesar la verdad, rumiarla y encarnarla en la vida cotidiana, no como simple conocimiento, sino con acciones tangibles. Este proceso nunca se completa de inmediato; sin embargo, si trabajamos para asimilar la Palabra con diligencia, nuestros pensamientos y conductas progresivamente se ajustan a las enseñanzas de Cristo, y pasamos a ejercer un rol de luz y sal en el mundo.

Asimismo, David Jang explica que quien se aferra a la verdad permanece firme ante las tentaciones satánicas. La táctica de Satanás se fundamenta en sembrar la mentira y la duda para sacudir las raíces de nuestra fe. Con la pregunta esencial “¿Eres realmente hijo de Dios?” trata de minar nuestra identidad, lo cual considera lo más letal. Incluso a Jesús, en el desierto, el diablo le presentó tres tentaciones con la frase: “Si eres Hijo de Dios…”. Tal y como Jesús replicó con “Escrito está”, el pastor David Jang enfatiza que necesitamos una fe firme en la “Palabra escrita”.

Ahora bien, ¿cómo aferrarnos a la verdad en la práctica? Él propone tres pautas. Primero, mantener siempre la Palabra cerca, meditarla a fondo y dejar que gobierne nuestra existencia. Segundo, dentro de la comunidad eclesial, estudiar y enseñar la Palabra recíprocamente, generando ámbitos para su aplicación concreta. Tercero, esforzarnos por vivir lo que hemos escuchado y aprendido, pues es entonces cuando la verdad comienza a obrar en nosotros. Al fin y al cabo, la verdad no es conocimiento puramente teórico, sino el poder del evangelio que se revela en la vida y la acción.

David Jang alude con frecuencia a los mártires de la Iglesia Primitiva como ejemplo. “Para guardar la verdad del evangelio, muchos arriesgaron la vida; y es esa verdad la que, en última instancia, ha mantenido viva a la Iglesia”. La verdad del evangelio posee una categoría absoluta, imposible de negociar con tibieza. La Iglesia está edificada sobre dicha verdad, siendo la expiación de Jesucristo el núcleo de la misma; por eso, nadie puede tambalear este pilar central.

En conclusión, la primera parte de la “armadura de Dios” que Efesios 6 menciona —el “cinturón de la verdad”— es la base de la lucha espiritual. Al igual que un soldado cuyo cinturón falta ve desarreglada su armadura, si no sostenemos la verdad, todo lo demás pierde eficacia. David Jang subraya: “Solamente si nos aferramos firmemente a la verdad del evangelio, experimentaremos el poder de Jesucristo y recibiremos la pasión correcta por el Reino de Dios”.

La esperanza de contemplar el Reino de Dios
David Jang asocia la “coraza de justicia” con un ferviente anhelo por el Reino de Dios. Así como la coraza protege el corazón, la fuerza que defiende nuestro interior y nuestra mente brota del anhelo intenso de ese Reino. De la misma manera que Jesús dijo: “Bienaventurados los que tienen hambre y sed de justicia, porque ellos serán saciados”, quienes anhelan la justicia y el gobierno divino no pierden con facilidad la firmeza de su corazón ante los ataques de Satanás.

¿Pero qué es concretamente el Reino de Dios? David Jang explica que su significado es tanto escatológico como actual. Existe un “Reino futuro de Dios” que se consumará con la segunda venida de Jesucristo, y a la vez un “Reino presente de Dios” que ya está en aquellos que creen en Cristo. Él retoma las palabras de Jesús: “El reino de Dios está entre vosotros”, para recalcar que no es solo algo del pasado o un suceso venidero, sino que se manifiesta hoy en día.

No obstante, la realidad que vivimos se encuentra “entre lo que ya es y lo que aún no ha llegado”, apunta. Aunque la salvación nos fue dada en Cristo, su consumación total y la completa revelación del Reino todavía pertenecen al futuro. En medio de esta tensión, alimentamos la esperanza en el Reino de Dios y procuramos experimentarlo en el presente, luchando por vivir bajo su dominio.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que esta esperanza es un blanco importante de las tentaciones de Satanás, quien busca plantar dudas como “No hay mañana, tu senda es vana, ni existe plan alguno de Dios” para hundirnos en la desesperanza.

En este punto, él conecta el “yelmo de la salvación” con la esperanza. La cabeza, como símbolo del “pensamiento”, debe llenarse de la esperanza del Reino de Dios, o de lo contrario, Satanás puede infiltrarse con flechas de desánimo y desaliento. El pastor David Jang pone como ejemplo al pueblo de Israel después de salir de Egipto: cada vez que extrañaban Egipto y se enredaban en la incredulidad y la queja, el camino por el desierto se tornaba más áspero. Sin embargo, cuando miraban hacia la Tierra Prometida y se aferraban al pacto divino, experimentaban la protección milagrosa y la dirección de Dios.

David Jang resume en tres aspectos el modo de sujetarnos a la esperanza. Primero, debemos reflexionar constantemente sobre las promesas bíblicas acerca de la segunda venida de Cristo y su reinado eterno. Segundo, al obedecer la Palabra en lo cotidiano y vivenciar la guía del Espíritu Santo, comprobamos que “el gobierno de Dios es real”. Tercero, compartir en la comunidad de la iglesia los testimonios de los mayores en la fe y constatar la mano de Dios a lo largo de la historia, para alentarnos unos a otros. Con ello, nuestra esperanza se afianza, de modo que, por más que Satanás susurre: “No tienes futuro”, no nos tambaleamos con facilidad.

Añade, además, que las “sandalias del apresto del evangelio de la paz” son la pasión por difundir el evangelio. El evangelio no promueve discordias, sino que trae la fuerza de la paz, y la tarea de difundir el mensaje con mansedumbre derriba muros y extiende el Reino de Dios. David Jang insiste en que proclamar el evangelio con humildad, mansedumbre y amor es lo que más aborrece Satanás. Al fin y al cabo, el evangelio conlleva un auténtico mensaje de paz, y quienes se empeñan en abrir rutas de reconciliación no pueden ser derrotados tan fácilmente por el enemigo.

Haciendo referencia a Romanos 14:17 —“El reino de Dios no es comida ni bebida, sino justicia, paz y gozo en el Espíritu Santo”—,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que “si abrigamos la esperanza del Reino, no nos abatimos bajo ninguna circunstancia y seguimos cantando himnos de gozo”. Conecta este punto con la entrada del pueblo de Israel en Canaán, señalando que, aunque el desierto fuera largo y pedregoso, nunca dejaron de mirar a la Tierra Prometida, y al final vieron cumplida la promesa. Enseña que la iglesia de hoy, al recordar esta historia, no debe desesperarse aunque la sociedad parezca oscura; debe seguir avanzando.

El escudo de la fe y la cuestión de la tentación
Al abordar Efesios 6:16, donde se menciona “el escudo de la fe”, David Jang explica que este nos defiende de toda clase de “dardos de fuego”. Dichos dardos enviados por Satanás pueden adoptar múltiples formas —duda, tentación, confusión de identidad, desaliento, conflictos interpersonales—, pero todos apuntan en última instancia a sacudir nuestra fe y hacernos abandonar la identidad de hijos de Dios.

Para David Jang, lo opuesto a la fe no es simplemente la incredulidad, sino un estado que se tambalea con facilidad ante la mentira y la duda. Cuando Adán y Eva cayeron bajo la mentira de Satanás y pensaron: “¿Será que Dios es realmente bueno? ¿Por qué nos prohíbe comer de este fruto?”, terminaron pecando. Del mismo modo, hoy Satanás intenta sin cesar sembrar preguntas del tipo: “¿De veras Dios te ama?” o “¿En verdad eres hijo de Dios?”, buscando arrastrarnos a la tentación.

¿Cuál es el arma para combatir semejantes dudas? En primer lugar, David Jang destaca la “certeza de lo que está escrito en la Palabra”. Cada vez que Jesús enfrentaba una tentación en el desierto, respondía: “Escrito está”. Así, la convicción firme en la Palabra de Dios es la clave para vencer la duda y la mentira. En segundo lugar, es crucial afirmar la certeza de que “somos hijos de Dios”. Dado que la tentación presentada a Jesús también comenzaba con “Si eres Hijo de Dios…”, el pastor hace hincapié en que la acometida más fuerte de Satanás pretende sacudir nuestra identidad. Pero si tenemos plena seguridad de haber nacido de nuevo como hijos de Dios, el maligno apenas encontrará grietas por donde irrumpir.

Agrega que la tentación puede convertirse en un proceso de crecimiento de la fe. Las diversas pruebas o tentaciones a las que nos enfrentamos nos llevan a buscar con mayor hondura la oración y la Palabra. Él evoca la historia de David y Goliat: David no se amedrentó ante el gigante porque sostenía inquebrantablemente: “La batalla es del Señor”, y así venció con una simple honda. Según David Jang, Satanás quiere que solo veamos el gigantismo de Goliat, pero aquel que tiene fe dirige la mirada a “la soberanía absoluta de Dios” y, con ello, desaparece todo temor.

Esa fe, sin embargo, no brota por sí sola. El pastor menciona su propia experiencia, diciendo que al comienzo sentía ansiedad ante problemas menores, pero conforme se aferraba a la Palabra, oraba y acumulaba vivencias, los obstáculos que antes parecían enormes ya no eran tan intimidantes. Esto ilustra que la fe crece por medio de la Palabra, la oración y el compartir dentro de la comunidad.

David Jang enfatiza que, especialmente en tiempos de tentación, la comunidad resulta de suma importancia. Quien se aísla se ve más indefenso ante los dardos de fuego. Sin embargo, si en comunidad nos recordamos mutuamente: “Tú eres hijo de Dios” y oramos los unos por los otros, el escudo de la fe se fortalece. Y al robustecerse la fe, no solo somos capaces de resistir, sino también de avanzar de modo activo. Tal como un escudo no sirve únicamente para proteger, sino que también permite que el soldado se desplace hacia el enemigo, cuando la fe se arraiga, no nos quedamos en esquivar los ataques, sino que nos aventuramos a la expansión del evangelio y el crecimiento de la Iglesia.

La espada del Espíritu y la práctica de la armadura completa
Finalmente, David Jang otorga un énfasis especial a la “espada del Espíritu, que es la Palabra de Dios” en Efesios 6. Si bien las otras piezas de la armadura tienen un rol más defensivo, la espada del Espíritu es el arma ofensiva para derribar al adversario en la guerra espiritual. Pero esta espada no consiste en mero conocimiento intelectual: actúa con poder cuando, bajo la guía del Espíritu Santo, se proclama y aplica conforme a cada situación.

Para blandir correctamente esta espada, él señala tres requisitos. Primero, debemos ser sensibles a la dirección del Espíritu Santo. Al orar y meditar la Palabra cada día, a veces el Espíritu trae a nuestra mente un pasaje concreto o conmueve nuestro corazón. Si obedecemos de inmediato y actuamos en base a la Palabra, la espada cobra vida. Segundo, la motivación debe ser “el amor”. Si empleamos la Palabra de forma errónea, podemos juzgar o herir a los demás, pero cuando la aplicamos anclados en el amor de Cristo, se convierte en una “espada que da vida” y conduce a la sanidad y al arrepentimiento. Tercero, debemos “entrenarnos” mediante la oración y el estudio bíblico. Tal como un soldado no puede manejar con eficacia una espada si no la ha practicado, nosotros también necesitamos investigar las Escrituras, compartirlas en la comunidad y orar para prepararnos. Así crece la eficacia de la espada.

David Jang menciona Hebreos 4:12: “La Palabra de Dios es viva y eficaz, y más cortante que toda espada de dos filos…”, para describir la espada del Espíritu. Señala que esta espada, en primer lugar, penetra en nuestro propio ser, provocando arrepentimiento y purificación. Si uno no ha sido confrontado por la Palabra y la blandiera únicamente contra los demás, esa “espada” dejaría de ser un arma que da vida para convertirse en un instrumento de violencia. Por ende, la espada del Espíritu manifiesta su luz genuina tras operar primero en nuestro interior, motivando introspección y quebrantamiento.

Al final, David Jang afirma que la “armadura completa” ha de funcionar en su totalidad con todos sus componentes. El cinturón de la verdad, la coraza de justicia, las sandalias del evangelio de la paz, el escudo de la fe, el yelmo de la salvación y la espada del Espíritu deben estar presentes simultáneamente. Si uno falta, el equilibrio se rompe. Así, aunque el escudo de la fe sea resistente, sin el yelmo de la salvación y la esperanza nos exponemos a un golpe mortal en la cabeza. O si conocemos la verdad pero perdemos el fervor por la justicia, nos quedamos sin la pasión esencial en la batalla espiritual.

Para llevar esta armadura a la práctica, presenta tres disciplinas espirituales. Primero, asignar cada día un tiempo a la oración. Durante ese espacio, con alabanza y meditación de la Palabra, buscamos percibir la voz del Espíritu e intentamos obedecerla. Segundo, pasar del mero “memorizar” la Biblia a aplicarla en la vida real. Ejercitarnos para recordar un versículo diario y actuar conforme a él. Tercero, compartir testimonios y retroalimentación en la comunidad cristiana: “¿Qué tentaciones enfrenté hoy y cómo las vencí con la Palabra?”. De este modo, comprobamos si la armadura completa está operando adecuadamente.

David Jang conecta 1 Corintios 13:13 —“Y ahora permanecen la fe, la esperanza y el amor, estos tres…”— con la armadura de Dios. El escudo de la fe (fe), el yelmo de la salvación (esperanza), y la coraza de justicia junto con el fervor de difundir el evangelio (amor) se mantienen en equilibrio para que no sucumbamos fácilmente a las mentiras de Satanás. Además, recuerda que cuando Jesús sanó a los enfermos, acogió a los pecadores y perdonó a sus enemigos con el amor de la cruz, aquello fue la “espada del Espíritu” que venció al diablo. La verdad, el amor y la obra del Espíritu siguen siendo el arma más poderosa.

Simultáneamente, recalca que la “armadura completa” no se trata de relucir un equipamiento ostentoso. La guerra espiritual no ocurre en enfrentamientos ruidosos del ámbito terrenal, sino en la lucha constante del corazón y la mente contra la tentación, la mentira y la desesperanza. Y así como Pablo culmina instando a “orar en todo tiempo… con toda oración y súplica”, la vigilancia en la oración mantiene efectiva esta armadura. Por medio de la oración discernimos con más claridad la guía del Espíritu, aplicamos la Palabra según las circunstancias y permanecemos listos ante nuevas tentaciones.

David Jang agrega que la iglesia actual debe librar esta guerra espiritual en conjunto. Así como Pablo pidió que oraran por él, la intercesión y el estímulo recíproco permiten que la victoria espiritual sea experimentada no solo a escala individual, sino por toda la Iglesia.

En la última parte de su mensaje, concluye: “Vestir la armadura completa es, en suma, imitar a Jesucristo cada día”. Jesús padeció toda clase de tentaciones y embates, además del sufrimiento de la cruz, pero venció con la verdad y el amor, sellando la salvación en el Calvario. Al recorrer nosotros ese camino, el mundo tal vez no lo reconozca o incluso se burle, pero, a través de la Iglesia, el Reino de Dios se expande y muchos regresan al evangelio.

El pastor David Jang menciona también lo significativo que resulta que Pablo, al final de Efesios 6, haga referencia a Tíquico. “Sin un colaborador como Tíquico, quizá ni el pensamiento elevado de Pablo ni la esencia del evangelio se habrían transmitido bien a la Iglesia”. La Iglesia no avanza en solitario, sino unida, y en todos los lugares son necesarios “Tíquicos” que vinculen el evangelio.

En definitiva, el eje que David Jang rescata de Efesios 6 es: “Aférrate a la verdad esencial, anhela el Reino de Dios, supera la tentación con fe y proclama con valentía el evangelio en el poder del Espíritu”. Esto no es factible por cuenta propia, sino que la edificación mutua y la cooperación en la Iglesia son imprescindibles. También urge a “no dejarnos arrastrar por las circunstancias momentáneas, sino mirar a la eternidad y aplicar esa esperanza eterna a la vida diaria”. Por muy sombría que luzca la realidad, si alzamos la mirada espiritual veremos que la victoria ya quedó sellada por la muerte y la resurrección de Jesucristo.

David Jang concluye con frecuencia con la frase: “Estad más alertas y preparados”. Confía en que, si la Iglesia espera el retorno del Señor en santidad y amor, el mundo encontrará esperanza a través de ella. Así, la victoria que alcanzamos en la guerra espiritual se manifiesta en frutos abundantes: almas que reciben vida y honra que rendimos a Dios.

Por último, se remite a los lemas de la Reforma Protestante: “Solo por gracia, solo por fe, solo por la Escritura”, que, según él, han sido los pilares de su ministerio. No nos salvamos por méritos humanos, sino por la gracia de Dios; a esa gracia nos aferramos con fe, y el criterio de esa fe es únicamente la Escritura. Mientras esto permanezca firme, la victoria espiritual está garantizada.

Finalmente, David Jang enlaza la visión de Efesios 6 con la Iglesia de nuestra época. Asumir la “armadura completa” no se restringe a la piedad individual: invita a toda la comunidad a avanzar unida, orando y sirviendo en amor, sosteniéndose en la Palabra y saliendo al mundo. Aun si el camino pareciera cubierto de espinas, al final nos encontraremos con el Señor y escucharemos Su aprobación.

En consecuencia, la esencia de Efesios 6 consiste en que toda mentira y desesperanza han sido vencidas por la cruz y la resurrección, y que el pueblo de Dios, al ceñirse toda la armadura, no puede perder en esta batalla espiritual. Con tal convicción, la gente encuentra en la Iglesia el amor de Cristo crucificado y, con la ayuda del Espíritu Santo, se convierte en nueva creación, enfatiza David Jang.

Para terminar, él afirma: “Por muy corrompido que luzca el mundo, si existe una Iglesia que pelea con la armadura de Dios, la esperanza sigue vigente”. Cuando contamos con cada elemento de la armadura bien dispuesto y avanzamos con amor mutuo, Dios obra con poder a través de la Iglesia y conduce a muchas almas al camino de la salvación. Según David Jang, así se revive en nuestro tiempo el ‘drama de la salvación’ que Pablo mostró.

Reconoce al mismo tiempo que no es una tarea sencilla. Defender la verdad, difundir el evangelio y resistir las tentaciones del mundo acarrea entrega y sacrificio. Pero la propia historia bíblica y eclesiástica nos enseña que ese sacrificio desemboca finalmente en gloria. Por ello, “pelead por el Reino de Dios con el método del amor y avanzad en la verdad con humildad” es la enseñanza inamovible de David Jang.

Así, el espíritu que atraviesa Efesios 6 y su “armadura completa” nos retrotrae a la esencia perenne del evangelio. Al aferrarnos a la verdad, fijar la mirada en el Reino de Dios, vencer las pruebas con fe y blandir la espada del Espíritu, ninguna oscuridad prevalecerá contra una Iglesia que vive estos principios. Y los frutos de ello se verán en nuestra vida diaria, en la historia de la Iglesia y en la transformación del mundo, asegura con convicción.

David Jang concluye reafirmando que todo se logra “solo por gracia”. Cuando surge la soberbia o la ilusión de ser “muy grandes”, la armadura se afloja de forma imperceptible. Pero aquel que cada día se humilla ante la cruz, invoca el poder del Espíritu y se aferra a la Palabra, recibe la valentía de no sucumbir ante ninguna tentación. Y es así, creciendo colectivamente como Iglesia en amor y santidad, como se cumple el deseo de Dios de edificar una auténtica comunidad de fe.

En suma, aunque vivamos en un campo de batalla espiritual, la victoria está asegurada gracias a la muerte y la resurrección de Jesucristo. Quienes vestimos la armadura completa podemos marchar sin temor. El pastor David Jang cierra sus sermones con la misma idea: “Mientras haya hombres y mujeres armados de amor, esperanza y fe, la Iglesia continuará proclamando y extendiendo el Reino de Dios con vida”. Aunque sigamos en medio de la lucha espiritual, avanzamos junto a la Iglesia para presentarnos un día ante el Señor, conservando la expectativa de lo que nos espera.

에베소서의 전신갑주 – 장재형목사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진리
장재형(장다윗) 목사는 복음의 핵심이 예수 그리스도임을 늘 강조해 왔다. 예수 그리스도가 곧 진리 자체이며, 우리가 붙들어야 할 생명의 근원이기에, 진리에 대한 믿음은 그리스도인이 전신갑주를 준비하는 첫걸음이라 역설한다. 에베소서 6장 후반부에 “전신갑주”가 소개되는데, 그중 첫 번째인 “진리의 띠”를 언급하면서 그는 “진리는예수 그리스도 그분이기에, 우리가 영적 전투에서 흔들리지 않을 가장 근본적인 토대”라고 설명한다. 다른 무장을 아무리 잘해도 진리를 놓치면 중심이 무너져 버리므로, 진리 없이는 우리의 신앙이 온전히 선 자리에 있을 수없음을 시사한다.

장재형 목사는 복음이 곧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과 부활을 가리키며, 여기에 대한 흔들림 없는 확신이 신앙의 근간을 세우는 동력이라고 강조한다. 에베소서가 언급하는 “전신갑주”는 겉모습만을 장식하는 무장이 아니라, 마음과 생각을 단단히 지키기 위한 영적 무장이다. 그는 “진리의 띠”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라 정의하며, “항상 진리를 몸에 지니고 있는 상태가 곧 흔들리지 않는 믿음의 출발”이라고 가르친다.

이처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된 복음은 구약과 신약을 묶는 열쇠이 된다. 장재형 목사는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 곧 성경 전체가 말하는 구원의 계획을 중시한다. 이는 구약에서 예언된 하나님의 구원이 신약에 이르러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완성된 복음을 끊임없이 ‘되새김질’하며 묵상하고 소화해, 우리의 삶에 체화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그는 역설한다. “소가 위가 여러 개 있어 되새김질하듯이, 말씀도 계속반복해 묵상해야 진리가 우리 삶에 스며들고, 실제로 행동에까지 이어진다”는 비유 역시 그가 자주 들려주는 말이다.

장재형 목사는 말씀을 듣고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해 일회성으로 흘려버리는 태도를 경계한다. 진리를 끊임없이받아들이고 되새김질하여, 지식이 아니라 삶으로 구현하는 과정이 신앙의 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어느한순간에 완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렇게 부지런히 말씀을 소화할 때, 우리의 사고와 언행이 서서히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반영하게 되며, 세상 속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그는 또한 진리를 붙드는 이가 사탄의 유혹 앞에서도 견고하다고 말한다. 사탄의 공격 방식은 결국 거짓과 의심을부추겨, 우리의 믿음의 뿌리를 흔들어 놓는 것이다. “네가 정말 하나님의 자녀가 맞느냐?”라는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통해 흔들어 대는 것이 가장 치명적이라는 설명이다. 예수님조차 광야에서 3대 시험을 받으셨을 때, 마귀는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거든…”이라는 문구로 시작하지 않았던가. 여기서 예수님이 “기록되었으되”로 맞서 싸우신 것처럼, 우리 역시 ‘기록된 말씀’에 대한 확고한 신뢰가 필요하다고 장재형 목사는 힘주어 말한다.

그렇다면 실제로 진리를 붙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는 세 가지 정도를 제시한다. 첫째, 말씀을 늘 곁에 두고 깊이묵상하며, 그 말씀이 삶을 지배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회 공동체에서 서로 말씀을 공부하고 가르치며,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듣고 배운 말씀대로 살고자 몸부림칠 때, 비로소 진리가 우리 안에서 작동한다는 사실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진리는 머리로 아는 지식이 아니라, 삶과 행동으로 드러나는복음의 힘이기 때문이다.

장재형 목사는 초대교회의 순교자들을 자주 예화로 든다. “복음 안에 담긴 진리를 지키기 위해 많은 이들이 목숨을 걸었으며, 그 진리가 결국 교회를 살아 있게 했다”는 것이다. 이렇듯 복음이 갖는 진리의 절대성은 흐릿하게 타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진리 위에 교회가 서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이 진리의 핵심이기에, 어느 누구도 이기둥을 흔들 수 없다.

결국 에베소서 6장에 나온 전신갑주 중 첫 번째 무장인 “진리의 띠”는 영적 전투의 기초다. 군인이 벨트를 하지 않으면 무장 전체가 흐트러지듯, 진리를 놓치면 다른 모든 것도 무력해지기 마련이다. 장재형 목사는 “복음의 진리를 확고히 붙들고 있을 때, 비로소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을 경험하며, 하나님 나라를 향한 올바른 열정을 품게 된다”고 강조한다.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보는 소망
장재형 목사는 “의의 흉배”를 하나님 나라에 대한 뜨거운 열정으로 해설한다. 흉배가 심장을 보호하듯, 우리의 내면과 마음을 굳세게 지키는 힘은 하나님 나라를 향한 간절함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예수께서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배부를 것이요”라고 하신 말씀처럼, 하나님의 공의와 다스림을 갈망하는 이들은사탄의 공격 앞에서도 중심을 쉽게 잃지 않는다.

그렇다면 하나님 나라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할까? 장재형 목사는 하나님 나라가 종말적 의미와 동시에 현재적의미를 함께 지닌다고 말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완성될 ‘미래적 하나님 나라’와, 지금 이 순간에도 예수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에게 이미 임해 있는 ‘현재적 하나님 나라’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다”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예로 들며, 과거와 미래만이 아니라 현재에도 하나님의 통치가 실현됨을 잊지 말라고 당부한다.

그러나 우리가 처한 현실은 “이미와 아직 사이”라고 그는 설명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을 받았으나, 완전한 구원과 하나님 나라의 온전한 실현은 아직 미래에 속해 있다는 것이다. 이 사이에 놓인 우리는 소망으로 하나님 나라를 바라고, 현재의 삶에서도 그 통치를 경험하기 위해 분투한다. 장재형 목사는 이런 소망이 사탄의 주된공격 목표가 된다고 강조한다. 즉, ‘내일이 없고, 너희가 가는 길은 허망하며, 하나님의 계획 따위는 없다’는 의심을 심어 절망하게 만드는 것이 사탄의 수법이다.

그는 바로 이 점에서 “구원의 투구”가 소망과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머리가 상징하는 ‘생각’이 하나님 나라에대한 소망으로 가득 차 있지 않으면, 사탄은 얼마든지 절망과 낙심의 불화살로 관통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을 예로 들어, 그들이 광야에서 자꾸만 애굽을 그리워하고 불신과 불평에 사로잡히자 길이 험난해졌음을 지적한다. 반대로 가나안 땅을 바라보며 하나님의 언약을 붙들었을 때, 그들에게는 하나님의 기적적인 보호와 인도가 이어졌다.

장재형 목사는 소망을 붙드는 실천 방법을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영원한 통치에 대한 약속을 성경에서 계속 상고하고 상기해야 한다. 둘째, 우리의 일상 속에서 말씀에 순종하고 성령의 인도를 경험함으로써, ‘하나님의 다스림이 실제로 임하는 것’을 체득해야 한다. 셋째, 교회 공동체 안에서 선배들의 간증과역사 속의 하나님의 일하심을 확인하며 서로 격려하는 것이다. 이렇게 할 때, 우리의 소망은 공고해지며, 사탄이아무리 ‘네 미래는 없다’고 부추겨도 쉽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는 “평안의 신발”이 곧 복음 전파의 열정이라고 말한다. 복음은 갈등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평화를 가져다주는 힘이며, 이를 위해 평화롭게 전하는 복음의 사역은 세상의 벽을 무너뜨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킨다는 것이다. 장재형 목사는 온유함, 겸손, 사랑을 기반으로 하는 복음 전파야말로, 사탄이 가장 꺼려하는 일이라고역설한다. 결국 복음은 진정한 평화의 메시지이며, 이 평화의 길을 열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는 이들을 사탄은쉽사리 무너뜨리지 못한다.

나아가 로마서 14장 17절 “하나님의 나라는 먹고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서의 의와 평강과 희락이라”는 구절을 빗대어, 장재형 목사는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는 소망이 있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낙담하지 않고 기쁨의 노래를 부를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이를 이스라엘의 가나안 입성과 비교하며, 아무리 광야가 길고 험해도, 결국 약속의 땅에 대한 소망을 포기하지 않았기에 약속의 성취를 경험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현대의 교회가 이 역사를 기억한다면, 지금 아무리 사회가 어둡게 보여도 결코 절망하지 않고 계속 전진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믿음의 방패와 시험의 문제
에베소서 6장 16절이 말하는 “믿음의 방패”에 대해, 장재형 목사는 이것이 온갖 ‘불화살’로부터 우리를 보호한다고 해석한다. 사탄이 쏘아 대는 불화살은 여러 형태를 띠는데, 의심, 유혹, 정체성 혼란, 절망, 인간관계 갈등 등 다양하지만, 그 목적은 궁극적으로 우리의 ‘믿음’을 흔들어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을 내려놓게 하는 것이다.

그에게 따르면 믿음의 반대말은 불신이라기보다, 의심과 거짓에 쉽게 흔들리는 상태다. 아담과 하와가 사탄의 거짓말에 속아 “정말 하나님이 선하시다면 왜 이 열매를 못 먹게 하셨을까?” 하는 의심으로 미끄러졌을 때, 결국은죄를 범하고 말았다. 마찬가지로 현대 사회에서도 사탄은 끊임없이 ‘하나님이 너를 진짜 사랑하실까?’ ‘정말 네가하나님의 자녀일까?’라는 질문으로 우리를 시험에 빠뜨리려 한다.

이런 의심에 맞서는 무기는 무엇일까? 장재형 목사는 첫째로 “기록되었으되”라는 말씀의 확실성이라고 말한다. 예수님이 광야에서 시험받으실 때마다 “기록되었으되”로 대적하셨듯이, 기록된 말씀에 대한 견고한 신뢰가 의심과 거짓을 물리칠 핵심 무기라는 것이다. 둘째로,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에 대한 확신이다. 예수님이받으셨던 시험이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어든…”으로 시작되었듯이, 사탄은 우리의 정체성을 흔들려 할 때 가장강력한 공격을 가한다. 그러나 우리가 거듭난 하나님의 자녀라는 사실이 확실하면, 사탄은 쉽사리 그 틈을 비집고들어오지 못한다.

장재형 목사는 시험이 오히려 믿음이 자라는 과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인다. 삶에 찾아오는 여러 가지 유혹이나어려움은, 우리가 더 깊은 기도와 말씀이 필요함을 깨닫게 만든다. 그가 예시로 드는 것이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다. 다윗은 “전쟁은 하나님께 속했다”는 믿음을 굳게 품고 있었기에, 골리앗이라는 거대 적 앞에서도 흔들림 없이 물맷돌 하나로 승리했다. 사탄은 우리의 시선을 골리앗의 거대함에만 고정시키려 하지만, 믿음의 사람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바라보기에 두려움이 사라진다.

그러나 이 믿음은 저절로 자라지 않는다. 장재형 목사는 자신이 걸어온 신앙 여정에서, 처음에는 작은 일에도 불안했지만, 점차 말씀을 붙들고 기도하며 체험이 쌓이자, 이전에는 감당하기 어려웠던 문제도 더는 크게 보이지 않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이는 믿음이 말씀과 기도,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의 나눔과 격려를 통해 자라난다는 사실을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시험의 시기일수록 공동체가 중요하다고도 말한다. 혼자 고립되어 있으면 불화살을 감당하기가 더 어렵기때문이다. 서로 믿음을 확인하고, “당신은 하나님의 자녀”라는 진리를 상호 확인하며 기도해 줄 때, 믿음의 방패가 더욱 견고해진다. 믿음이 강해질수록, 우리는 후퇴가 아니라 적극적인 전진도 가능하게 된다. 전쟁에서 방패는단지 막기만 하는 수단이 아니라, 전열을 안전하게 이동시켜 적진으로 들어가게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믿음이 있으면 사탄의 화살을 피하는 것을 넘어서, 복음 전파와 교회 확장을 위한 주도적 행보도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성령의 검과 전신갑주에 관한 실천
마지막으로 에베소서 6장에 언급된 무장 중 하나인 “성령의 검, 곧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 장재형 목사는 특별히강조한다. 앞선 무장들이 주로 방어적 역할을 한다면, 성령의 검은 영적 전쟁에서 적을 능동적으로 무너뜨리는 공격 무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검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성령의 조명 아래 상황에 맞게 선포되고 적용될 때에야 비로소 예리하게 작동한다.

그는 이 성령의 검을 제대로 휘두르려면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첫째, 성령의 인도하심에 민감해야 한다. 말씀을 매일 묵상하고 읽다 보면, 성령께서 때마다 특정 구절을 떠올리게 하시거나 우리의 마음을 찌르시는데, 그때 곧바로 순종하며 말씀을 실행할 때 검이 살아 움직인다는 것이다. 둘째, ‘사랑’이 동기가 되어야 한다. 말씀을잘못 적용하면 다른 사람을 정죄하고 상처 주는 칼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주님이 보여주신 사랑을 근거로 말씀을적용하면, 이는 상한 마음을 치유하고 회개로 이끄는 ‘생명의 칼’이 된다. 셋째, 기도와 훈련을 통해 말씀을 익혀야 한다. 군인이 아무리 좋은 검을 들고 있어도 다룰 줄 모르면 소용없듯이, 우리도 말씀을 연구하고 공동체에서나누며 기도로 준비할 때, 검의 효과가 더 커진다.

장재형 목사는 히브리서 4장 12절의 “하나님의 말씀은 살았고 운동력이 있어 좌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 예리하여…”라는 구절이 성령의 검을 설명한다고 언급한다. 이 검은 우리 안을 먼저 찌르며, 회개와 정결을 이루게 한다. 자기가 다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타인을 무조건 ‘말씀’이라는 명분으로 휘두르면, 그것은 영혼을 살리는 검이 아니라 ‘폭력적인 칼’이 되고 만다. 따라서 성령의 검은 먼저 자기 성찰과 회개를 거쳐야만 제대로 된 빛을 발한다.

결국 전신갑주는 이 모든 요소가 하나로 맞물려야 한다고 장재형 목사는 말한다. 진리의 띠, 의의 흉배, 평안의 신발, 믿음의 방패, 구원의 투구, 성령의 검 중 어느 하나라도 빠지면 균형이 깨진다. 예컨대, 믿음의 방패가 단단해도 구원의 투구가 없어 소망을 잃으면, 머리가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진리를 알지만 의를 향한 갈망이 식어 뜨거운 열정이 없다면, 영적 싸움에서 쉽사리 무기력해진다.

그는 이 전신갑주를 실제 삶에서 구현하기 위해 세 가지 영적 훈련을 제안한다. 첫째, 매일 정해진 시간을 기도에할애하라는 것이다. 그 시간에 찬양과 말씀 묵상을 통해 성령의 음성을 듣고, 그 인도에 순종하는 노력을 하라. 둘째, 성경을 ‘암기’ 차원을 넘어 실천 적용으로 연결지으라는 것이다. 하루 한 구절씩이라도 상황에 맞춰 상기하고실행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공동체 안에서 간증과 피드백을 나누라는 것이다. “오늘 나는 어떤 유혹을 맞닥뜨렸고 어떻게 말씀으로 이겨냈는가?”를 서로 점검해 줌으로써 전신갑주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있다는 것이다.

장재형 목사는 고린도전서 13장 13절 “믿음, 소망, 사랑은 항상 있을 것”을 전신갑주와 연결해 해석하기도 한다. 믿음의 방패(믿음), 구원의 투구(소망), 의의 흉배와 복음 전파의 열심(사랑)이 균형 있게 돌아갈 때, 사탄의 거짓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서 병자를 고치고, 죄인을 영접하시며, 십자가 사랑으로 원수를 용서하셨을 때, 이는 그대로 성령의 검이 되어 사탄을 물리치셨다고 그는 말한다. 가장 강력한 무기는 진리와 사랑, 그리고 성령의 역사임을 재차 강조한다.

이와 함께 장재형 목사는 “전신갑주”가 화려한 겉치장이나 무장에 국한되지 않음을 다시 상기시킨다. 영적 전쟁은 현실 세계의 시끄러운 투쟁이 아니라, 마음과 생각에서 날마다 벌어지는 유혹과 거짓, 절망과의 싸움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사도 바울이 마지막으로 “모든 기도와 간구로, 무시로 기도하라”고 권면하듯, 깨어있는 기도가 이전신갑주를 계속 유효하게 만든다. 기도를 통해 성령의 인도를 더 선명히 느끼고, 그때그때 말씀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험에도 즉각적으로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 교회에 대해 장재형 목사가 제시하는 바는, 결국 이 영적 전쟁을 공동체가 함께 치러야 한다는 점이다. 바울이 “나를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하듯, 서로를 위한 중보 기도와 격려를 통해, 개인을 넘어 교회 전체가 영적 승리를 누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메시지의 결론부에서, “전신갑주를 입고 사는 길은 곧 예수 그리스도를 날마다 본받는 길이다”라고 말한다. 예수님은 지상에서 온갖 시험과 대적의 공격, 그리고 십자가의 고통까지 겪으셨지만, 진리와 사랑으로 승리하시고 십자가에서 구원을 이루셨다. 우리가 그 길에 동참할 때, 세상은 알아주지 않고 비웃을지 몰라도, 결국 하나님의 나라는 교회를 통해 확장되며 수많은 영혼이 복음으로 돌아오게 된다.

장재형 목사는 이어, 사도 바울이 에베소서 6장 마지막에서 두기고를 언급하는 대목이 의미심장하다고 덧붙인다. “두기고와 같은 동역자가 없었다면, 바울의 높은 정신과 복음의 진수가 교회에 잘 전달되지 못했을 수도 있다”는것이다. 교회는 혼자가 아니라 함께 걸어가는 공동체이기에, 복음을 서로 연결해 주는 ‘두기고’들이 곳곳에 세워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정리해 보면, 장재형 목사가 에베소서 6장을 통해 전하는 핵심 메시지는 “진리의 중심을 붙들고, 하나님 나라를소망하며, 믿음으로 시험을 이겨 내고, 성령의 능력으로 담대히 복음을 전하라”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을 혼자서는이룰 수 없으므로, 교회 안에서 서로 세워 주며 동역해야 한다. 나아가 그는 “현실에 휘둘리지 말고 영원을 바라보며, 그 영원한 소망을 오늘의 삶에 적용하라”고 권면한다. 우리가 마주한 현실이 아무리 답답해 보여도, 영적 눈을들어 보면 이미 승리가 보장된 전쟁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장재형 목사는 이를 위해 “더 깨어 준비하라”는 말을 자주 인용한다. 교회가 주님 다시 오심을 기다리며 성령 안에서 거룩과 사랑을 추구한다면, 세상은 교회를 통해 소망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는 믿음이다. 그렇게 될 때, 영적전쟁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승리란, 세상 사람들에게 생명을 전해 주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풍성한 열매로 나타난다.

이어서 그는 “오직 은혜로, 오직 믿음으로, 오직 성경으로”라는 종교개혁의 슬로건이 자신의 사역의 뿌리가 되고있음을 다시금 언급한다. 어떤 인간적인 공로나 자격이 아닌, 전적인 은혜로 우리가 구원받고, 그 은혜를 붙드는통로가 믿음이며, 그 믿음의 기준은 오직 성경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흔들리지 않을 때, 영적 싸움에서도 승리가보장된다는 견해다.

마지막으로, 장재형 목사는 에베소서 6장에 내포된 비전과 현재 시대의 교회를 잇는다. 전신갑주를 입는다는 것은 단순히 개인 경건 생활에 그치지 않고, 교회 공동체가 연합해 서로 격려하며 전진한다는 뜻이다. “서로 기도하고, 사랑으로 섬기며, 말씀을 붙들고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 비록 가시밭길 같아도 그 끝에서 우리가 만나게 될 분은 주님이시며, 그분의 칭찬을 듣게 될 것”이라고 격려한다.

결국 에베소서 6장의 요지는, 우리를 두렵게 하는 어떤 거짓과 절망도 십자가와 부활로 말미암아 꺾였고, 전신갑주를 두른 하나님의 백성은 이 영적 전투에서 결코 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확신이 있으면, 사람들은 교회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을 체험하고, 성령의 도우심으로 새로운 피조물이 될 수 있다고 그는 강조한다.

장재형 목사는 마지막으로 당부한다. “세상이 아무리 악하다고 해도, 전신갑주를 입고 싸우는 교회가 있다면 소망은 살아 있다.” 우리가 전신갑주의 각 요소를 제대로 갖추고, 서로 사랑으로 나아갈 때, 하나님께서는 교회를 통해 큰 일을 이루시고, 많은 영혼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실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바울이 제시한‘구원의 드라마’를 우리의 시대에 재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한편, 그는 이 모든 과정이 결코 손쉬운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진리를 지키고 복음을 전하며, 세상의 유혹을 이겨내는 동안 헌신과 희생이 따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신앙의 선배들이 남긴 교회사와 성경의 역사에서 보듯, 그 희생이 결국은 영광으로 이어졌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 나라를 위하여 싸우되, 사랑의 방식으로싸우고, 진리 안에서 겸손하게 나아가라”는 것이 장재형 목사의 변함없는 가르침이다.

이렇듯 에베소서 6장을 관통하는 전신갑주의 정신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변함없는 복음의 본질을 되새기게 만든다. 진리에 굳게 서고,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보며, 믿음으로 시험을 이겨 내고, 성령의 검을 들고 나아가는 교회는어떤 어둠도 결국 이겨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열매는 우리의 일상과 교회 역사, 그리고 세상에서의 변화로 나타날 것이라고 그는 거듭 확신한다.

장재형 목사는 끝으로 이 모든 것이 “오직 은혜”로만 가능하다고 재차 이야기한다. 교만하기 시작하거나 스스로대단하다고 착각하면, 전신갑주는 어느새 풀어져 버리고 만다는 것이다. 매일 십자가 앞에서 자신을 돌아보며, 성령의 능력을 구하고, 말씀을 붙드는 사람은 그 어떤 시험에도 휘둘리지 않을 담대함을 얻게 된다. 그렇게 함께 성장하는 교회야말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참된 신앙 공동체라는 게 그의 결론이다.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이 영적 전쟁터임은 분명하나,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이미 승리는 확정된 전쟁이다. 전신갑주를 온전히 갖춘 우리는 그 길을 두려움 없이 걸어갈 수 있다. 장재형 목사는 “사랑과 소망, 그리고 믿음으로 무장한 이들이 있는 한, 교회는 생명력 있게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고 확장해 나갈 것”이라는 말로 설교를 마무리하곤 한다. 지금도 우리는 이 영적 전투 한복판을 살아가지만, 함께 전진하는 교회와 더불어 주님 앞에 설 날을 기대하며, 우리의 걸음을 계속 옮겨야 한다는 메시지가 그의 중심 사상이다.

고난 중에도 드러난 복음의 진보 – 장재형목사

바울 사도가 옥중에서 빌립보서를 기록할 당시, 그는 로마 감옥에 결박된 상태였다. 통상적으로 복음 전도자에게 있어서 감옥은 자유의 상실과 함께 전도의 지리적·상황적 제약을 의미한다. 많은 사람이 쉽게 생각하기를, 바울이 옥에 갇혀 있다면 그의 사역도 멈추고, 복음 확장은 중단될 것으로 본다. 그러나 빌립보서 1장 12-14절에서 바울은 이 예상과 정반대의 상황을 보고한다. 그는 자신의 당한 일이 도리어 복음의 진보를 가져왔다고 말한다. 이 진술은 그 어떤 역설보다 강렬하며, 복음이 결코 인간적 제약에 매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바울이 옥중에 있으면서도 복음이 진보한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바울은 자신을 지키는 로마 시위대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었다. 감옥이라는 한정된 공간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자신을 교제의 장으로 삼아, 경비대원들과 대화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소식을 전했다. 이는 보통의 상황이었다면 쉽지 않았을 특별한 청중에게 복음이 전달되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바울의 옥중 수감 소식은 바울을 염려하던 빌립보 교회 성도들에게도 전달되었고, 이 소식을 들은 형제들이 겁 없이 말씀을 담대히 말하게 되었다. 즉, 바울이 옥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해 복음이 새로운 방향으로 확장되고, 이미 믿는 이들은 더욱 용기를 얻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는 복음이 어떤 환경적 조건에도 종속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다. 바울은 육신적으로 결박당했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매이지 않는다는 확신이 현실로 드러났다(딤후 2:9 참조). 장재형(장다윗, 올리벳대학교)목사는 이러한 장면을 통해, 복음은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능력이며, 인간적 제약이나 불리한 상황조차 복음의 확장성을 가로막지 못한다고 해설한다. 그는 기술적·문화적 한계, 정치적 억압, 심지어 사도 자신의 결박 상황에서도 복음은 더욱 왕성하게 퍼져나갈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 역설적 현상은 복음에 내재한 신비이자 하나님의 섭리를 드러낸다. 세상 논리로는 결코 상상하기 어려운 일, 즉 옥중이라는 극단적 제약 환경이 오히려 복음 전파에 기여한다는 사실은 성도들에게 깊은 위로와 용기를 준다. 빌립보 교인들이 바울의 결박 소식을 듣고도 낙심하지 않고 오히려 담대함을 얻었다는 점에서, 이 사건은 단순히 바울 개인의 사역 성공을 넘어선 교회 공동체의 영적 성장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복음은 언제나 새로운 길을 찾고, 인간이 상정한 한계를 돌파하며, 하나님의 계획 아래에서 왕성한 생명력을 보여준다.

바울을 괴롭게 한 자들의 동기와 현실

그러나 복음 진보의 역설적 현상이 드러나는 한편, 바울은 빌립보서 1장 15-17절에서 또 다른 현실을 고백한다. 그는 어떤 이들이 투기와 분쟁의 동기로 복음을 전하고 있으며, 바울의 옥중 결박을 기회 삼아 그를 괴롭게 하려 한다고 밝힌다. 이는 복음 전파라는 숭고한 행위가 교회 내부에서도 불순한 동기와 억측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누구였을까? 바울을 괴롭히는 이들은 대개 로마 교회나 인근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로 추정된다. 바울이 옥에 갇히기 전까지, 그는 강력한 사도적 권위와 선교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 바울은 감옥에 있으며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교회를 돌보거나 복음을 변증할 수 없는 상태다. 이 틈을 노려, 일부 전도자들은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복음을 전하는 외피를 두르고 있으나, 실제로는 바울을 압박하고 괴롭히는 모순적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바울의 옥중 상황을 이용해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고, 바울 없는 공간에서 파벌적 세력을 키우려는 계산을 품었을 것이다.

장재형목사는 이 장면을 통해, 교회가 결코 이상적인 공동체만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초대교회 안에서도 복음을 전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순수한 열정보다 시기심, 경쟁심, 개인적 야망에 동기 부여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인간적 약점이 교회 안에서도 작동한다”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복음은 거룩하고 순전한 메시지이지만, 이를 전하는 자들의 마음속에는 아직 정결치 않은 욕심과 세속적 동기가 스며들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은 교회가 완전무결한 조직이 아니며, 신자들 역시 계속해서 정화의 과정을 거쳐야 함을 시사한다.

바울의 입장에서, 이러한 인물들은 단순히 불쾌한 존재를 넘어서, 감옥이라는 약화된 상황에서 그를 더 큰 고통에 빠뜨릴 수 있는 요소였다. 바울이 외부 박해나 이단 공격보다 더 괴로워한 것은 교회 내부의 문제, 곧 믿는 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시기와 분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바울이 다른 서신서(예: 고후 11:28)에서도 고백하듯, 교우들 사이의 갈등이 사도에게 정신적·영적 부담을 안기는 핵심적 요인이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바울의 대응: 복음 중심적 관점과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신뢰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바울은 어떻게 반응했는가? 빌립보서 1장 18절에서 바울은 불순한 동기로 복음을 전하는 이들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그게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라고 말한다. 그는 어떤 동기로 복음이 전파되든, 그리스도가 알려지고 전해진다는 사실 자체에 기뻐하겠다고 선언한다. 이 반응은 감탄할 만한 영적 성숙과 복음 중심적 관점을 보여준다.

바울은 결코 이들의 불순한 동기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이들이 가진 시기심과 경쟁심을 명확히 지적한다. 그러나 바울은 개인적 감정에 함몰되지 않고, 사소한 권위 다툼에 매달리지도 않는다. 오히려 그는 복음이라는 더 큰 그림을 바라본다. 그리스도가 전파되는 일이라면, 설령 그 과정에서 자신의 명성이 흔들리고, 감옥에서 억울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괜찮다는 것이다.

장재형목사는 이 장면을 바울 신앙의 정수로 해석한다. 복음 중심적 관점이란 개인의 이익이나 감정보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과 복음 확장이라는 궁극적 목적에 시선을 고정하는 태도다. 바울은 사람들의 뒤틀린 의도에도 불구하고 복음이 전해지는 상황을 보고 기뻐함으로써, 하나님의 섭리와 주권을 신뢰한다. 비록 지금은 인간적 동기가 혼재하는 어지러운 상황일지라도, 결국 복음 자체가 하나님의 능력이기에 하나님께서 이를 선용하시리라는 믿음이 바울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같은 바울의 태도는 현대 기독교인들에게 깊은 반성을 요구한다. 오늘날 교회 상황에서 성도들이나 지도자들이 종종 사소한 갈등이나 명예 문제에 집중하다 보면, 복음 전파라는 궁극적 목표를 잊기 쉽다. 바울은 본문을 통해, 복음을 위한 사역자가 자신의 감정과 이해관계를 넘어 복음을 선택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것이야말로 복음 중심적 신앙이 지닌 특징이며, 교회 지도자나 성도 모두가 본받아야 할 모범이다.

교회 내 불순한 동기와 현대적 시사점

초대교회 내 불순한 동기 존재와 이에 대한 바울의 대응은 현대 교회를 향한 중요한 시사점을 담고 있다. 교회는 결코 완벽하지 않으며, 신자들도 죄성과 인간적 욕망을 지니고 있기에 복음 전파 현장에 다소의 이기심과 분열적 경향이 스며들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현실을 어떻게 바라보고 처리하느냐 하는 것이다.

바울은 불순한 동기 자체를 미화하거나 방치한 것은 아니다. 그는 문제를 인식하고 명확히 지적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이 상황에 빠져들지 않고, 궁극적 판단과 심판이 하나님께 있음을 상기한다. 현대 교회도 마찬가지로, 내부에 존재하는 갈등과 불순한 동기에 눈을 감지 말고 직시하되, 그것으로 인해 복음 사역이 무너지도록 방치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복음이 선포되고, 하나님의 주권 아래 하나님의 선한 목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신앙적 낙관을 견지해야 한다.

장재형목사는 이 본문을 통해 현대 교회가 불순한 동기로 사역하거나 복음을 전하는 이들을 대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혜를 제안한다. 첫째, 교회는 문제를 분명히 인식하고, 불순한 동기를 가진 이들의 행위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둘째, 그 과정에서도 개인적 감정 분출이나 사적 복수심에 휩싸이지 않고, 복음 중심적 관점을 유지해야 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하나님께서 각 사람을 심판하시고, 동기의 진위를 드러내실 것을 믿기에, 교회는 조급하게 판단하지 않고 인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각은 현대 교회 지도자들에게 큰 의미를 갖는다. 교회가 성장을 거듭하며 다양한 인물이 참여할수록, 의도와 동기의 혼재는 불가피할 수 있다. 어떤 이는 진실한 사랑으로 사역하지만, 또 다른 이는 명예욕이나 영향력 확대를 위해 복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바울의 태도—“그게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는 단순한 방관이 아니라, 더 큰 목적을 바라보는 시선이다. 사람들의 불순한 동기에도 불구하고 복음이 전파된다면, 그리고 하나님의 섭리가 그 가운데 역사한다면,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기뻐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기쁨이 불순한 동기를 정당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울은 불순한 동기를 가진 이들을 칭찬하거나 용납하자고 하지 않았다. 다만, 복음 전파라는 긍정적 결과에 집중함으로써, 인간적 분쟁을 뛰어넘는 시각을 제공했다. 이 시각은 현대 교회가 불순한 동기 문제를 다룰 때, 율법주의적 징계나 공격적 대치보다 복음 중심·하나님 중심 접근을 통해 장기적 안목을 가질 것을 촉구한다.

복음 중심적 삶으로 나아가는 결론

바울이 옥중에서 복음 진보를 경험하는 동시에, 불순한 동기로 자신을 괴롭히는 이들의 존재를 인정한 이 사건은 복음 전파 현장의 복합성을 보여준다. 복음은 역설적으로 옥중에서도 전파되며, 한편으로는 불순한 동기가 복음 사역을 왜곡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바울은 이 모든 상황 속에서도 복음 중심적 관점을 견지한다. 그는 자신의 상처나 분열 상황에 매몰되지 않고, 복음이 전해지는 일 자체를 기뻐하며 하나님의 주권을 신뢰한다.

이 결론은 현대 성도들에게도 유효한 지침을 제공한다. 복음을 전하는 과정에서 누구나 장애물을 만날 수 있고, 심지어 교회 내부에서도 갈등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복음은 결코 이러한 환경에 매이지 않는다. 하나님의 말씀은 어떤 상황에서도 길을 찾아나가며, 인간적 약점 속에서도 하나님의 선한 손길은 드러난다. 성도들은 이러한 역사 속에서 낙담하지 않고, 복음의 절대적 가치를 붙들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

바울의 태도는 단순히 초대교회 시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교회 역사 전반에 걸쳐, 복음은 무수히 많은 장애와 불순한 동기를 딛고 번져나갔다. 중세 시대나 근대 선교 역사에서도, 불순한 정치적 목적이나 개인적 욕심을 품은 이들이 복음을 도구화하려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음은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바울이 보여준 복음 중심적 신앙이 역사적으로도 진리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현대 교회가 직면한 난제—세속화, 내부 갈등, 신학적 분열, 문화적 반감—들을 마주할 때, 바울이 옥중에서 복음 진보를 기뻐한 마음과, 불순한 동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복음 중심적 관점을 본받는다면, 교회는 더욱 성숙해질 수 있다. 교회가 외적인 성장이나 제도적 안정에 몰두하기보다, 복음이 전파되고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알게 되는 목표에 초점을 맞춘다면, 불순한 동기나 인간적 갈등은 궁극적으로 복음의 거대한 흐름을 막지 못할 것이다.

결국 바울의 옥중 경험은 교회와 성도들에게 “복음이 최우선이다”라는 선언을 다시금 되새기게 한다. 불순한 동기가 작용하는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복음이 전해지고 하나님 나라가 확장되는 현실이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기쁨의 이유가 된다. 바울이 “그게 무슨 상관이 있느냐?”라고 물은 것은, 단순한 무관심이나 체념이 아니다. 그것은 복음에 대한 절대적 신뢰,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인정하는 믿음, 그리고 사람들의 의도나 동기를 뛰어넘는 하나님의 주권을 찬양하는 표현이다.

이러한 신앙적 성숙에 이르는 길은 결코 쉽지 않다. 인간적 감정, 명예욕, 상처는 수시로 튀어나와 우리의 관점을 흐릴 수 있다. 그러나 복음 중심적 신앙을 견지하고, 하나님의 시간 안에서 하나님의 계획을 신뢰한다면, 우리는 바울과 같은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교회 내부의 갈등을 영적 성숙의 기회로 전환하고, 불순한 동기를 품은 이들의 존재조차 하나님의 섭리 아래 복음 진보의 일부로 해석하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바울의 옥중 고백과 장재형목사의 강해를 통해, 현대 성도들은 복음 중심적 삶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그것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복음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인간적 이해득실이나 감정보다 복음 전파와 하나님의 영광을 더 크게 바라보는 자세다. 이런 삶의 태도는 교회 공동체를 더 건강하게 만들며, 성도들이 환경 탓하거나 인간적 갈등에 매몰되지 않고 복음의 능력을 만끽하게 한다.

이 긴 논의를 통해 재차 확인되는 사실은 간명하다. 바울은 옥중에서도 복음 진보를 경험했고, 동시에 그를 괴롭히는 불순한 동기를 가진 자들이 있었으나, 그는 “그게 무슨 상관이 있느냐?”고 말하며 복음 전파 자체에 기뻐했다. 이 사실이 현대 교회에도 여전히 울림으로 다가온다. 어떤 상황에서도 복음은 매이지 않으며, 하나님의 말씀은 자유롭게 확장된다. 성도들은 이 진리를 기억하며, 복음 중심의 신앙을 통해 교회 내외의 혼란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확신하는 가운데 전진할 수 있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Ralph D. Winter Library에 수백 권의 고품질 미술 도서 추가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에 있는 Ralph D. Winter 도서관에 500권의 고품질 미술 도서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책들은 은퇴한 미술대학 교수가 소장하고 있던 것으로, 컬렉션 주제에는 회화, 드로잉,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건축, 역사 및 예술 전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책은 양장본으로 상태가 양호합니다.

이러한 미술 도서는 Olivet University의 미술 학생 및 교수진에게 제공될 예정입니다. Olivet School of Art & Design의 부학장이자 미술 교수인 Zimou Tan은 이러한 책이 OSAD의 미술 프로그램에 매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OSAD를 위한 완벽한 시기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새로운 도서들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각적 자료와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여 미술 교육 및 연구의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그레이스앤피스

로마서 공부를 통해 사도 바울의 거듭남을 묵상하는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신학생들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Olivet Theological College & Seminary(OTCS)는 겨울 학기에 다양한 강좌를 개설하여 학생들이 학업 목표에 맞는 수업 일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대되는 강좌 중 하나는 로마서 1부입니다.

매주 토요일 오후, 크리스티 트란 박사의 로마서 강의를 듣기 위해 강의실은 학생들로 가득 찼습니다. 지난 주 강의에서는 트란 박사가 로마서의 저자인 사도 바울과 예수님의 개인적인 만남을 묵상하기 위해 학생들을 데리고 여행을 떴습니다. 학생들은 선택된 백성만이 아니라 박해자들과 적들에게도 나타나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에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MDiv 학생인 Liting Miao는 자신의 감정을 공유했습니다. “오늘의 강의를 듣고 마음이 사랑과 평안으로 가득 찼습니다. 예수님은 바울에게 자신을 계시하고 진정한 사랑을 보여주셨습니다. 바울이 예수님의 사랑하는 제자들을 박해할 때에도 예수님은 그를 지켜보셨지만 여전히 그를 사랑하기로 선택하셨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사랑이고 그 사랑은 영원히 깊고 완벽하다고 느껴집니다.”

“사도 바울은 이 사랑으로 변화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우리에게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죄를 용서하고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 줍니다.” 라고 그녀는 말을 이었습니다.

로마서 1부는 학생들에게 성서의 중요한 교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 강좌는 로마서 1장부터 8장까지를 다루며, 2부에서는 9장부터 16장까지를 다룹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그레이스앤피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MBA 학생들은 기업가 정신에 대해 토론합니다: 위기 속에서 기회에 집중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 Olivet Business School의 MBA 학생들은 전례 없는 학술 세션에서 계속해서 온라인 원격 학습에 참여하며 기업가 정신의 세계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리버사이드, 샌프란시스코, 그리고 뉴욕 맨해튼 캠퍼스의 학생들이 Sebastian Keita 교수가 이끄는 기업가 정신 과정에 참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새로운 사업을 디자인하고 시작하며 운영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며, 이론보다는 아이디어와 비전에 주목합니다. 학생들은 기업가 정신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계산된 위험 감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또한, 그룹 토론과 교수와의 개별 상담을 통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도전하고 배움에 대한 참여를 지속적으로 촉진합니다.

한 MBA 학생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많은 유명 창업가들의 이야기를 연구하고, 창업에 대한 욕망과 비전만으로는 성공을 보장할 수 없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비전과 꿈은 중요하지만, 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내와 기회를 찾는 끈기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창업가는 기회를 발견하고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며, 투자하기 전에 위험을 신중하게 평가할 수 있게 됩니다.

Olivet Business School의 MBA 프로그램은 기업가 정신을 키우고 싶은 학생들에게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온라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와 배움을 지속적으로 촉진합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로마서2장]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으며….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

베드로의 고백과 부인 – 장재형목사 사순절 ‘십자가의길’

장재형 목사의 갈라디아서 강해를 듣고 – 바울 사도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그레이스앤피스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OTCS 교수진은 복음주의 신학 학회 가상 컨퍼런스에 참여합니다.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 신학대학 및 신학교(OTCS) 교수진은 복음주의 신학 협회(ETS)를 포함하여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의 일환으로 일련의 주요 회의에 사실상 참여했습니다.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ETS)의 주제 중에는 교회사: 종교의 자유, 무슬림 변증론이 있었습니다.

“교회사에 관한 이 라이브 세션에 참여할 수 있어서 기쁩니다. 주제는 무슬림과 기독교인의 관계에 관한 것이었고, 무슬림과 세계에 복음을 더 잘 전파하기 위해 역사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는 더 많은 녹화 세션에 참여할 계획입니다. “라고 Dover 캠퍼스의 강사인 Jasper Rebrova가 말했습니다.

OTCS 교수진은 SBL(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AAR(American Academy of Religion), 중국 교육 자원 및 추천(ERRChina)에서 주최하는 회의와 같은 다른 가상 회의에 참여했습니다.

거의 8,000명의 회원을 보유한 미국종교학회(AAR)는 종교 분야의 교사, 학자 및 기타 전문가에게 봉사하는 데 전념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조직입니다. OTCS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교수진이 가상회의에 참여해 ’20세기 스코틀랜드 개혁신학’, ‘미국 개혁신학사에서 ‘ecclesia 개혁신학, semper 개혁신학’의 오용’, ‘칼빈 신학의 왕국 개념에 대한 칼 바르트의 재해석.’

목회상담학과 에스더 정 박사는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신학적 견해와 공동체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교육 자원 및 소개 – 중국(ERRChina) 가상 컨퍼런스에서 교수진은 중국 퍼즐에서 유교 및 기독교 대화의 역할과 같은 세션에 참여했습니다.

“발표자는 공자사상에 대한 분별력과 중국 기독교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발표를 통해 선교사들이 순수한 복음을 깊이 가르치면 중국 사람들도 복음을 잘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 제게 울려 퍼졌습니다. 중국은 세계를 위한 비옥한 모판이 될 수 있는 큰 잠재력이 있습니다.” 임무”라고 Dr. Linda Lee는 말했습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장재형목사 (장다윗, 올리벳대학교 설립자)의 ‘로마서 강해’를 읽고나서…로마서 1장1절

그레이스앤피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D.Min. 프로그램의 사역 트랙은 더욱 성공적인 구두변론을 축하합니다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Zinzendorf 박사과정(ZSDS)의 10명 이상의 목회학 박사(D.Min.) 후보자들이 최근 D.Min에 대한 구두 변론을 성공적으로 통과했습니다. 이러한 성취를 축하하기 위해, 사역 트랙과 멘토 교수진은 후보자들의 노력과 성공을 응원합니다.

멘토 교수들의 참석 아래, 박사과정 위원회는 후보자들의 구두 변론을 심층적으로 검토했고, 논문 완성을 위한 질문과 제안을 제공했습니다. 후보자들은 자신의 독특한 사역 경험과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뤘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 트랙의 Jana Rebrova는 선교사의 관점에서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의 복음 주의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Aria Reppert는 교회 예배 및 음악 트랙에서, 예배 지도자와 예배 팀을 위한 영적 훈련에 관한 연구를 다루었습니다. 또한 Business as Mission 트랙의 Yanping Zhang는 선교사들을 위한 천막 제작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트랙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번 달에도 풍부한 품질의 논문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합니다.”라고 ZSDS 사역 프로그램 박사인 Tom Cowley 박사가 말했습니다.

ZSDS는 D.Min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후보자들은 자신의 논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검토할 기회를 갖습니다. 구술 방어 및 졸업 요건을 모두 통과한 후보자들은 올해 6월 졸업식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그레이스앤피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샌프란시스코 주빌리 음대 분기별 연주회 개최

장재형목사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샌프란시스코 주빌리 음악대학(Jubilee College of Music San Francisco)은 크리스마스 방학 직전에 분기별 연주회를 열었습니다.

13명의 학생과 강사인 쿠보 앨리스(Alice Kubo)가 베토벤, 쇼팽, 차이코프스키 등 유명 작곡가의 피아노 곡을 연주했습니다.

주목할만한 작품으로는 WA Mozart의 Alleluia; 요하네스 브람스의 피날레; 안토니오 비발디의 가을; 천사들의 하모니 Op.100, No 21;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폴카 Op.29, No 14, 제임스 호너의 내 마음은 계속될 것입니다.

음대 학생들의 공연에는 피아노와 드럼 듀엣이 포함되었습니다. 앨리스 쿠보(Alice Kubo) 강사는 Sonata In E-Flat Major, Op. 81a를 연주하여 독주회에 기여했습니다. 청중은 음악의 드라마틱하고 역동적이며 리드미컬한 대조를 다양하게 즐겼습니다. 저녁은 JCM의 가을 분기 피아노 코스의 인상적인 쇼케이스였습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그레이스앤피스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의 학생들은 다가오는 졸업식 준비를 위해 디자인 센터와 협력합니다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


2022년 6월 24일 금요일, 리버사이드 본교에서 열릴 예정인 장재형목사가 세운 올리벳대학교 졸업식을 위해 OSAD(Olivet School of Art and Design) 교수진과 학생들이 대학 디자인 센터와 손을 잡고 행사를 위한 무대, 장소 장식 및 기념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례 행사는 미국 전역과 전 세계 Olivet 학생들의 가족과 친구들이 함께 모이는 특별한 시간입니다. 우리는 최상의 시각적 경험을 선사하여 그들을 환영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제품이 기능적이면서도 실용적이어야 한다는 실용적인 관점을 취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미학적으로도 만족스러워야 합니다.”라고 대학 디자인 센터 소장인 Rodem Hwang 박사가 설명했습니다.

무대 배너, 가로등 배너, 꽃 꽂이, 초대장 및 기념품은 이번 디자인 프로젝트의 일부입니다. 이벤트를 위한 모든 것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물류 측면에서도 세심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대학 디자인 센터의 지도 아래, 학생들은 프로젝트 관리 및 디자인 품질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배우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이번 행사가 하나님의 영광과 그의 신실함을 증거하는 시간이 되기를 기도하며 계속해서 준비해 나갈 것입니다.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 캠퍼스 개발 추진

장재형목사 설립|올리벳대학에 랄프 윈터 도서관 개원

장재형 목사 설립한 WOA에 기독일보 방미단 방문

장재형목사 설립 WETIA, 세계 복음주의 신학대 네트워크

장재형목사 설립한 WEC 한교연 미국연수단 내방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유럽 신학교들과 협력 논의

장재형목사 설립한 진젠도르프 2023 박사과정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OIT 교수진 CES 2022 컨퍼런스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대표단, ABHE 연례 회의 참석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진젠도르프 박사과정에 전세계 학생들 참여

장재형목사 설립 올리벳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최신 랜더링 공개

장재형목사 설립 OTCS 기독교 변증학 과정 신앙의 이유 탐구

그레이스앤피스